본문 바로가기
TIL/웹 프로그래밍(풀스택) - boostcourse

4) browser의 동작-1

by _din 2020. 12. 22.

브라우저는 월드와이드웹(WWW)에서 정보를 검색, 표현하고 탐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인터넷에서 특정 정보로 이동할 수 있는 주소 입력창이 있고 서버와 HTTP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버에서 받은 문서(HTML, CSS, Javascript)를 해석하고 실행하여 화면에 표현하기 위한 해석기(Parser)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라우저마다 서로 다른 엔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이 대표적인 내용입니다.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처리되는 webkit렌더링엔진의 처리과정

출처 https://www.html5rocks.com/en/tutorials/internals/howbrowserswork/

 

HTML을 해석해서 DOM Tree를 만들고, CSS를 해석해서 역시 CSS Tree(CSS Object Model)을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Parsing 과정이 필요하며 토큰 단위로 해석되는 방식은 일반적인 소스코드의 컴파일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DOM Tree와 CSS Tree, 이 두 개는 연관되어 있으므로 Render Tree로 다시 조합됩니다.

이렇게 조합된 결과는 화면에 어떻게 배치할지 크기와 위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후에 이렇게 구성된 Render Tree정보를 통해서 화면에 어떤 부분에 어떻게 색칠을 할지 Painting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크로미움은 V8 + Blink을 포함한 구글 브라우저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입니다.  또한 크롬은 바로 이 크로미움을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크로미움은 여전히 렌더링 엔진으로 Blink를(webkit에서 fork된) 사용합니다. Blink 라는 용어보다도 보통  크롬의 크로미움을 주로 이야기하지만, Blink가 크로미움으로 바뀐 것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출처 Bootcourse - 4) browser의 동작-1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생각해보기

  1. 우리가 흔히 브라우저 탐색을 할 때 스크롤을 하거나, 어떤 것을 클릭하면서 화면의 위치를 바꿀 때, 브라우저는 어떻게 다시 화면을 그릴까요?
  2. 위에서 표현된 그림처럼 다시 렌더링 되지 않을까요? 

렌더링 최적화

  • Reflow
    : Render Tree(스타일 정보와 실제 화면에 표현되는 노드들로만 구성)와 각 요소들의 크기와 위치를 다시 계산
    Reflow 예시)
    - 페이지 초기 렌더링 시(최초 Layout 과정)
    - 윈도우 리사이징 시 (Viewport 크기 변경시)
    - 노드 추가 또는 제거
    - 요소의 위치, 크기 변경 (left, top, margin, padding, border, width, height, 등..)
    - 폰트 변경 과(텍스트 내용) 이미지 크기 변경(크기가 다른 이미지로 변경 시)

  • Repaint
    : Render Tree를 다시 화면에 그려주는 과정
    Repaint 예시)
    - 레이아웃에 영향을 주지 않는 스타일 속성이 변했을 경우



출처: https://boxfoxs.tistory.com/408 [박스여우 - BoxFox]

 

참고해 본 자료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 Reflow Repaint, 그리고 성능 최적화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 Reflow Repaint, 그리고 성능 최적화

렌더링이란 HTML, CSS, JavaScript등 개발자가 작성한 문서를 브라우저에서 그래픽 형태로 출력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웹 개발을 하며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어떻게 개

boxfoxs.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