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61

2-3) HTML 구조설계 HTML 구조설계 구조화 설계는 마치 문서를 쓴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현업에서는 Presentation 문서형태의 기획서나 디자인 파일을 받아서 그것을 기반으로 HTML개발을 시작합니다. 즉 어떠한 화면을 보면서 그대로 구현하는 것이죠. 그 화면을 보면서 구조를 분석해야 합니다. 먼저 영역을 나눠서 상단/본문/네비게이션 이런 식으로 큰 부분부터 분리합니다. 그 뒤에 각 영역 안에 내용의 구조를 잡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각 영역 안의 내용 역시 여러 가지 형태일 겁니다. 목록을 나타내거나, 이미지를 나타내거나, 문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때마다 적절한 태그를 쓰면 됩니다. 그러면서 영역 안에 또 다른 영역이 있다면 점점 안으로 좁혀가면서 HTML tag를 사용하면서 완성해나가는 겁니다. 이때 CSS코.. 2020. 12. 27.
2-2) HTML Layout 태그 레이아웃을 위한 태그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태그도 역시 그 의미에 맞춰서 사용됩니다. header section nav footer aside html태그는 레이아웃을 할 때도 그 의미에 맞는 것을 찾아 사용해야 검색도 더 잘되고, 가독성 있는 코드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지금 언급된 태그들은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구성됩니다. 생각해보기 간단한 웹페이지를 만든다고 가정하고, 상단 영역, 네비게이션 영역, 하단 영역을 layout tag를 사용해서 구성해보면 좋습니다. header home news sports 로그아웃 오늘의 날씨 footer 2. 여러 웹사이트들이 어떻게 layout태그를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세요. 모바일에서는 레이아웃 태그 사용 PC에서는 레이아웃 태그가 적용되지 않을 수.. 2020. 12. 27.
2-1) HTML Tags HTML tag의 종류 태그는 그 의미에 맞춰서 사용해야 합니다. 링크 이미지 목록 제목 anchor 태그, img 태그, ul/li 태그, heading 태그, p 태그 등이 자주 사용됩니다. 그 밖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div태그가 있습니다. div 태그는 block 엘리먼트라고 하는데 일반적인 영역을 표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많은 태그를 모두 외울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태그를 찾아서 적절한 의미에 맞는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Boostcourse - 2-1) HTML Tags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2020. 12. 25.
7) WAS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Client)는 서비스(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Server)에게 정보를 요청하여 응답 받은 결과를 사용합니다.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미들웨어 (MiddleWare) 클라이언트 쪽에 비즈니스 로직이 많을 경우, 클라이언트 관리(배포 등)로 인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비즈니스 로직을 클라이언트와 DBMS사이의 미들웨어 서버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입력과 출력만 담당하도록 합니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WAS는 일종의 미들웨어로 웹 클라이언트(보통 웹 브라우저)의 요청 중 웹 애플리케이.. 2020. 12. 25.
6) 웹서버 웹 서버란? 웹 서버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보통 말하지만,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웹 서버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클라이언트(Client)가 요청하는 HTML 문서나 각종 리소스(Resource)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웹 브라우저나 웹 크롤러가 요청하는 리소스는 컴퓨터에 저장된 정적(static)인 데이터이거나 동적인 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웹 크롤러란?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 사이트에서 다른 웹사이트 정보를 읽어갈 때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웹 크롤러는 사용자가 검색하기 전에 수 천억 개에 달하는 웹페이지에서 정보를 모아 이를 검색 색인에 정리 프로토콜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미리 정해놓은 규칙 렌더링이란? 웹 서버가 여러 정보들을 하나로 합쳐서 보여주는 작업 웹 .. 2020. 12. 25.
5) browser에서의 웹 개발-2 웹에서 코드 실행해볼 수 있는 페이지 HTML 문서 안에 HTML태그뿐 아니라 CSS, JavaScript코드가 존재합니다. JavaScript 코드는 body 태그 닫히기 전에 위치하는 것이 렌더링을 방해하지 않아도 좋고, css코드는 head 안에 위치해서 렌더링 처리 시에 브라우저가 더 빨리 참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javascript파일을 하단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참고로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defer / async 속성을 사용해서 선언한 곳과 스크립트 실행 시점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IE9까지는 지원되지는 않는속성)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Element/script 출처 Boost.. 2020. 12. 25.
5) browser에서의 웹 개발-1 알게 된 몇 가지 특징 HTML문서는 html이라는 태그로 시작해서 html태그로 끝납니다. head는 무엇을 하는 걸까요? : 어떤 자세한 문서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되어있다. body는 무엇을 하는 걸까요? : 화면에 표현되어야 할 태그들이 포함되어있다. HTML은 계층적입니다. HTML은 tag를 사용해서 표현합니다. HTML 문서 안에 HTML태그뿐 아니라 CSS, JavaScript코드가 존재합니다. JavaScript 코드는 body 태그 닫히기 전에 위치하는 것이 렌더링을 방해하지 않아도 좋고, css코드는 head 안에 위치해서 렌더링 처리 시에 브라우저가 더 빨리 참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Boostcourse - 5) browser에서의 웹 개발-1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2020. 12. 23.
4) browser의 동작-2 파싱과정이 일종의 컴파일 과정이라고 표현했으나, 컴파일은 CPU가 알아들을 수 있는 machine code 또는 VM이 알아들을 수 있는 byte code 코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파싱작업이 컴파일 작업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출처 Boostcourse - 제목4) browser의 동작-2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2020. 12. 23.
4) browser의 동작-1 브라우저는 월드와이드웹(WWW)에서 정보를 검색, 표현하고 탐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인터넷에서 특정 정보로 이동할 수 있는 주소 입력창이 있고 서버와 HTTP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버에서 받은 문서(HTML, CSS, Javascript)를 해석하고 실행하여 화면에 표현하기 위한 해석기(Parser)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라우저마다 서로 다른 엔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이 대표적인 내용입니다.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처리되는 webkit렌더링엔진의 처리과정 출처 https://www.html5rocks.com/en/tutorials/internals/howbrowserswork/ HTML을 해석해서 DOM Tree를 만들고, CSS를 해석.. 2020. 12. 22.
3) 웹 Front-End 와 웹 Back-End-2 백 엔드(Back-End)란? backend는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며, 요청에 따라 정보를 내려주는 역할을 한다. 가령 쇼핑몰이라면, 상품 정보를 가지고 있고, 주문을 받아서 저장하고,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상품을 골라주는 역할이 back-End의 역할이다 백 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할 것들 프로그래밍 언어(JAVA, Python, PHP, Javascript 등) 웹의 동작 원리 알고리즘(algorithm), 자료구조 등 프로그래밍 기반 지식 운영체제, 네트워크 등에 대한 이해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예: Spring) DBMS에 대한 이해와 사용방법(예: MySQL, Oracle 등) 출처 Boostcourse - 3) 웹 Front-End 와 웹 Back-End-2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부스트코.. 2020. 12. 22.
3) 웹 Front-End 와 웹 Back-End-1 웹프론트엔드? 사용자에게 웹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문서, 동영상, 사진 등)를 제공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요구사항)에 반응해서 동작합니다. 웹프론트엔드의 역할 웹콘텐츠를 잘 보여주기 위해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신문,책등과 같이) - HTML 적절한 배치와 일관된 디자인 등을 제공해야 합니다.(보기 좋게) - CSS 사용자 요청을 잘 반영해야 합니다.(소통하듯이) - Javascript 출처 Boostcourse - 3) 웹 Front-End 와 웹 Back-End-1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www.boostcourse.org 2020. 12. 22.
2) 웹의 동작 (HTTP 프로토콜 이해)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와 그가 속한 팀은 CERN에서 HTML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 및 웹 브라우저 관련 기술과 HTTP를 발명하였습니다. 문서화된 최초의 HTTP버전은 HTTP v0.9(1991년)입니다.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입니다. HTTP는 계속 발전하여 HTTP/2까지 버전이 등장한 상태입니다. HTTP 작동방식 HTTP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릅니다. 장점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는 적합하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계속 연결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최대 연결 수보다 훨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 2020. 12. 22.
반응형